들어가기전
ssh와 DB연결과정에서 포트포워딩하는 방법은 이전의 https://dev-moon00.tistory.com/8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indows SSH 설정
윈도우 설정 > 시스템 > 선택적 기능 > 선택적 기능 추가 > 기능보기에서 OpenSSH 서버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ssh가 실행중인지 확인합니다.
Get-Service sshd
status가 stopped로 되어있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실행시킵니다.
Start-Service sshd
부팅마다 자동실행 설정을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입력합니다.
Set-Service -Name sshd -StartupType 'Automatic'
이렇게 SSH 설정을 마쳤으면 포트포워딩을 통해 ssh의 22번 포트를 열어주어야합니다.
windows방화벽은 SSH 서버를 설치하며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혹시 모르니 확인해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추가사항)
22번 포트를 열어두는게 보안적으로 불안하신 분들은 포트번호를 바꿀 수 있습니다.
-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ssh 설정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Invoke-Item C:\ProgramData\ssh\sshd_config
- #Port 22 를 찾아서 아래에 Port 원하는포트 를 추가
- ssh 재시작
Restart-Service sshd
- 열어둔 포트는 windows 방화벽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22와 다르게 직접 인바운드추가
- 공유기에 열어둔 ssh 포트 포워딩
데이터베이스 연결(Docker)
저는 도커컴포즈 파일을 모두 만들어놔서 이를 이용해서 데스크탑에 도커로 실행시켰습니다.
해당 도커의 외부포트를 방화벽,공유기 포트포워딩에서 설정하여 연결하여 사용했습니다.
마무리
간단하게 SSH와 도커를 데스크탑에 설치하여 노트북에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게 있다면 적극적인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SSH 설치 - https://eehoeskrap.tistory.com/763